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1 내년 화생지 물화생 둘 중에 고민 고 1입니다 09년생 5등급제 개정교육과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선택과목 물화생
고 1입니다 09년생 5등급제 개정교육과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선택과목 물화생 말고 화생지 생각중인데 가고싶은 학과는 화학공학과입니다 근데 물리보단 지구가 성적이 더 잘 나오는 편인데 공학 자체가 물리를 중점으로 두고 있다 들었는데 성적이 안나와도 물리를 하는 게 나을까요?? 근데 물리 4등급 받을 바엔 지구 1등급 받는게 훨씬 낫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네이버 보니까 학종으론 물리가 훨씬 유리하다고 하더라고요 뭘 하는 게 좋을까요?내신 따려면 아무래도 화생지가 나을까요…?
핵심 판단 포인트
항목
설명
화학공학과는 물리 필요?
일부 상위권 대학 커리큘럼상 물리(역학, 열역학 등) 비중이 있긴 하지만, 고교 선택과목이 필수 조건은 아님
학종에서 물리가 유리하다?
맞기도 하고, 절반은 오해입니다. 물리를 선택했다고 해서 유리해지는 게 아니라, **‘선택과목의 정당성 + 성취도’**가 평가됩니다
내신의 영향력
학종/교과 전형에서 선택과목의 등급이 실제 당락에 직접적 영향 (4등급 vs. 1등급은 큰 차이)
지구과학 선택 시 단점
‘공학계열인데 물리를 안 했네?’ 정도의 영향은 있으나, 내신 1등급 확보 시 오히려 더 긍정적 평가 가능
대학 입시 기준으로 보면?
대학군
과목 선택 영향
서울대, 연고대, UNIST, 포스텍 등 최상위
물리 선택이 ‘권장’ 또는 ‘사실상 필수’로 간주되는 경우 많음 (자소서·서류에서 평가)
중경외시·건국·홍대 이하
성취도(등급)이 훨씬 더 중요, 물리 미선택 불이익 없음
지방거점 국립대 / 지역균형
내신 1등급 확보 → 지구과학 선택이 훨씬 유리
현실적인 조언
그리고 화학공학은 화학 비중이 크기 때문에,
‘화학’에서 좋은 성취도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 평가 요소예요.
생기부/학종 전략 팁
화학 과목에서의 활동·탐구 보고서·심화 질문 등을 적극 기록
융합 탐구로 '화학 + 지구과학' 연결된 시사나 실험 프로젝트 구성 가능
**“물리는 선택하지 않았지만, 공학적 탐구 역량은 다른 방식으로 확보했다”**는 흐름 만들기
결론 요약
질문
답변
물리 vs. 지구, 뭐가 나을까요?
내신 1등급 확보가 가능한 지구과학이 더 유리합니다.
물리를 안 하면 불이익 있을까요?
상위권 일부 대학(서울대 등) 제외하면 큰 불이익 없습니다.
화학공학과인데 지구과학 괜찮을까요?
화학 중심 탐구 내용이 충실하다면 충분히 지원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