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산업공학과 편입 고려중이에요 산공과에서 필수적이고 필요한 스킬이나 컴터툴, 그리고 잘맞는 성격 및 성향과
산공과에서 필수적이고 필요한 스킬이나 컴터툴, 그리고 잘맞는 성격 및 성향과 졸업 후 진로가 궁금해요..!지거국 건축학과에서 군휴학까지 보내고 2학년 마무리 후, 휴학을 하고 편입을 준비 중입니다. 부모님 직업의 영향을 받아 건축학과에 진학했고 학과 생활은 그래도 재밌었지만, 설계 관련 진로로는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오랫동안 저의 성격과 가치관과 관련해 고민을 한 끝에 편입 1지망 학과로 산업공학과를 목표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과에 대해 많이 찾아보고 대학마다의 커리큘럼이나 필요한 스킬,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해 많이 알아보았는데요.저는 문과적 성향이 강한 이과이기도 하고 컴퓨터 관련 작업이나 일에 대해서는 불호여서 상극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는데, 산업공학과는 통계관련 프로그램이나 준컴공급으로 코딩이나 컴터 작업이 주가 되어 해야하고, 또한 3학년으로 편입하는 만큼(물론 이전학년도 함께 수강하겠지만) 편입에 성공해도 남들보다 훨씬 뒤쳐지는 것은 불가피 하다고 생각해요.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과 효율적으로 도출해내는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는 학과의 근본적 특성이 잘맞을거라 생각하고 다양한 진로도 얕지만 넓게 고민하고 고를 수 있는 것이 큰 매력으로 느꼈습니다. 2,3지망으로 건공과 도시공학을 생각 중입니다..시험에서 다 탈락하면 돌아가는 것이 불가피한데 이것에 대한 스트레스와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도 이만저만이 아닌데 붙는다면 학과라도 제가 바라던 것을 힘들지만 즐기면서 할 수 있을지 궁금해서 이렇게라도 끄적여봤습니다..
건축에서 산업공학으로 진로를 고민하실 만큼 깊이 생각해오신 게 글에서 그대로 느껴져요. 편입 준비 스트레스와 동시에 ‘과연 나랑 맞을까?’ 하는 두려움도 크실 것 같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산업공학은 사람과 시스템을 연결해 효율을 높이는 학문이라 글쓴 분처럼 “사람과의 소통·과정 개선”에 매력을 느낀다면 충분히 잘 맞을 수 있습니다. 다만 통계·데이터·컴퓨터 툴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라, 최소한의 적응은 필요합니다.
산업공학과에서 중요한 스킬 & 툴
통계 분석: R, SPSS, Minitab 같은 툴을 사용해 데이터 해석
프로그래밍: Python, SQL, VBA 정도는 기본 소양으로 요구됨 (전공 심화까지는 아님)
최적화/시뮬레이션 툴: Arena, Gurobi, AnyLogic 등
엑셀 고급 활용: 데이터 정리, 함수, 매크로
→ 코딩 실력이 컴퓨터공학 수준까지는 아니고, 문제 해결 도구로 활용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잘 맞는 성격·성향
사람 사이 의견을 조율하고 협업하는 걸 좋아하는 성격
시스템의 흐름을 보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는 데 흥미가 있는 성향
숫자와 데이터에 거부감이 심하지 않은 태도
→ "문과적 성향의 이과"라는 자기평가와도 잘 어울려요. 수학적 창의성보다는 논리적 사고와 커뮤니케이션이 더 중요합니다.
졸업 후 진로
제조·생산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생산계획)
물류·SCM (유통·운송 최적화, 창고 관리)
IT·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서비스 기획, UX 연구)
컨설팅 (경영·공정·서비스 효율화)
공기업·공무원 (산업·안전·품질 관련 직렬)
산공의 강점은 진로가 얕지만 넓게 퍼져 있다는 점인데, 글쓴 분이 말씀하신 “선택지를 다양하게 두고 고민할 수 있는 매력”과 딱 맞습니다.
편입 후 따라잡기 현실
3학년 편입은 분명 시작이 늦습니다. 하지만 산업공학 특성상 기초수학(선형대수·통계)과 기본 프로그래밍만 미리 조금 준비하면 충분히 따라갈 수 있어요.
특히 요즘은 유튜브, 인강, 무료 강좌로 Python이나 통계 툴은 2~3개월이면 기초는 익힐 수 있습니다.
저도 지도한 학생 중에 건축 → 산업공학 편입한 케이스가 있었는데, 본인은 “처음엔 통계 때문에 힘들었지만, 사람 중심으로 시스템 개선하는 성격이 나랑 맞는다”라며 결국 전공을 즐겼습니다
답변에 도움되셨다면 채택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