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호텔 샤워기 부러짐 어제 호텔을 이용하고 오늘 7시쯤에 머리 감고 샤워기 정상으로 작동
제주도 갈때 비행기내리면 바로 수하물 찾으러가나요? 김포에서 제주도 갈때랑 올때요비행기에서 내리면 뭐하나요?바로 수하물 찾으러 가나요?아님 줄서서
일본 여행지 어디로? 친구들이랑 일본 여행 갈려고 하는데 친구한명이 저질체력이라 고민이 되요 혹시
일본약대 일반전형 입학 문의 국내 약대 입시 준비하다가 실패하고 재수 준비하고 있는 중인데요꼭 국내일
명품 가방 FTA 관세 면제 프랑스 아울렛 매장에서 에서 2900유로에 구찌가방 구매하여 택스리펀 300 받았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울증약 불안증약 종류 잘 아세요? 제가 먹어본 약이에요- 클로나제팜- 설트랄린- 자나팜- 벤라팍신- 티아본- 트라린- 브린텔릭스-
우울증약 불안증약 종류 잘 아세요? 제가 먹어본 약이에요- 클로나제팜- 설트랄린- 자나팜- 벤라팍신- 티아본- 트라린- 브린텔릭스-
제가 먹어본 약이에요- 클로나제팜- 설트랄린- 자나팜- 벤라팍신- 티아본- 트라린- 브린텔릭스- 부스피론- 아티반- 멀타자핀- 산도에스시탈로프람- 프로작이것 말고 우울증약 불안증약 종류 더 많나요?
i
우울증약과 불안증약은 정말 다양하고, 각 약물마다 작용 방식과 용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질문자님께서 이미 복용해 보신 약들도 여러 종류로, 다양한 계열의 약물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약과 불안증약은 주로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로 나뉘며, 이 두 가지는 경우에 따라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각 약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어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1. 항우울제 종류
항우울제는 주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기분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과 같은 계열이 있습니다.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막아 기분을 개선합니다.
대표 약물: 플루옥세틴(프로작),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 설트랄린(졸로프트), 파록세틴(팍실)
SNRI(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모두 증가시킵니다.
대표 약물: 벤라팍신(이펙사), 둘록세틴(심발타)
NDRI(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높입니다.
대표 약물: 부프로피온(웰부트린)
NaSSA(노르아드레날린 및 특정 세로토닌성 항우울제):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하여 기분을 안정시킵니다.
대표 약물: 미르타자핀(멀타자핀)
TCA(삼환계 항우울제): 오래된 항우울제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대표 약물: 아미트립틸린, 이미프라민
MAOI(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모노아민 산화효소를 억제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입니다.
대표 약물: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2. 항불안제 종류
항불안제는 주로 신경계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여 불안감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벤조디아제핀 계열: 중추신경 억제 작용으로 불안을 신속하게 완화합니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의존성 위험이 있습니다.
대표 약물: 클로나제팜(리보트릴), 알프라졸람(자나팜), 로라제팜(아티반), 디아제팜(발륨)
비벤조디아제핀 계열: 의존성 위험이 적으면서도 불안을 줄입니다.
대표 약물: 부스피론(부스파)
베타차단제: 주로 심리적 불안보다는 신체 증상(예: 심장 두근거림)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대표 약물: 프로프라놀롤
항히스타민제: 항불안 효과가 있지만 졸림이 심할 수 있습니다.
대표 약물: 히드록시진
3. 기타 약물
최근에는 기분 안정제나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우울증 치료에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기분 안정제: 리튬, 발프로산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 퀘티아핀(세로켈)
약물 복용 시 주의사항
각 약물은 개인에 따라 효과와 부작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벤조디아제핀 계열은 오랜 기간 복용할 경우 의존성이나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전문가의 지도를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또한, 항우울제는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몇 주가 걸릴 수 있으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현재 복용 중인 약이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심하다면,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로 조정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의로 약을 중단하거나 복용량을 변경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