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그런데 계엄령은 왜 했던건가요? 명분도없는것같고 리스크에비해 실리도없는것같고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안가서질문드립니다
그런데 계엄령은 왜 했던건가요? 명분도없는것같고 리스크에비해 실리도없는것같고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안가서질문드립니다
명분도없는것같고 리스크에비해 실리도없는것같고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안가서질문드립니다
i
안녕하세요~ 계엄령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겁고 두려운 느낌이 드는 질문자님.
실제로 저도 처음엔 "왜 굳이 계엄령까지 선포할까?"라는 의문을 많이 가졌었어요. 그런 생각, 정말 자연스러운 거예요.
계엄령이 왜 시행되었는지, 그 배경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릴게요.
1. 계엄령이란?
전쟁, 내란, 중대한 사회 혼란 등이 발생했을 때 국가가 군대를 동원해 치안과 질서를 유지하는 비상조치입 니다.
평상시에는 경찰이 하는 일을 군이 일부 대신하게 되고, 일부 국민 기본권이 제한되기도 해요.
통상적으로는 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입니다.
2.한국에서 계엄령이 선포된 대표 사례
※ 5·16 군사정변(1961): 박정희 소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며 서울에 계엄령 선포
※ 5·18 광주민주화운동(1980): 전두환 신군부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 박근혜 탄핵 정국 당시 (2017): 탄핵 기각 시 시민 항쟁 가능성에 대비해 청와대가 계엄령 검토 문건을 준비했던 사실이 이후에 공개되었어요. 실제로 실행되진 않았지만, 이런 시도 자체가 국민적 논란을 불러왔습니다.
3.왜 계엄령을 검토했나?
표면적 명분은 국가 안보나 사회 혼란 예방이지만, 실제로는 정권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악용된 경우가 많습니다.
군이 정치에 개입하는 위험한 전례가 생기기 때문에, 국민 기본권 침해와 민주주의 훼손의 우려가 큽니다.
리스크에 비해 실리가 적은 이유
말씀하신 것처럼, 계엄령은 정치적 정당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고,
실행되면 국내외 반발, 국민 저항, 국제 사회의 외교적 비난까지 초래할 수 있어 오히려 정권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계엄령은 정말 위급할 때만 제한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조치인데, 역사적으로는 권력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아 국민 입장에서는 납득이 어려운 사례들이 많았던 것입니다.아이러니 한거죠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채택 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