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대해 1. 북한의 문화 (음식이나 옷 등)2. 북한의 정치3. 북한의 경제4.
북한에 대해 1. 북한의 문화 (음식이나 옷 등)2. 북한의 정치3. 북한의 경제4.
1. 북한의 문화 (음식이나 옷 등)2. 북한의 정치3. 북한의 경제4. 북한의 사회제일 빠르고 정확하게 많이 써 주신 분 채택할게요
안녕하세요? 역사/국제정치를 사랑하며, 현재는 북한학을 독학으로 공부하는 역사빠돌이 인사 올립니다.
질문자께서는 북한과 관련하여 다음 4가지를 질문하여 주셨는데요.
사회와 문화는 비슷한 부분이 많아, 통합하였습니다.
따라서 반봉건/반제국주의 이미지가 박혀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이는 어휘인 '아가씨', '도련님' 등의 어휘도 봉건적 어휘라면서 '동무'로 바꾸어 부르고 있을 정도로 폐쇄적입니다.
또한, 북한은 해외문화에도 부정적인 인식을 보입니다. 최근 북한 정부가 공포한 법률인 '평양문화어보호법' 및 '반동사상문화배격법'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이태원 클라스', '태양의 후예' 등을 단속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북한은 봉건적 잔재를 없앤다면서도 '진짜' 봉건적 잔재인 '유교'는 없애지 못했는지, 아직도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이 아직도 있습니다.
개성공단의 직원인 한 한국 여성이 개성공단으로 출근할 때 탄 버스에서 계속 주변 사람들과 의도치 않게 접촉하자 "자꾸 스치네..."라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그걸 들은 북한 남성이 "그거이 스친건가? 이 정도는 되어야 스친거지."라면서 옆 북한 여성의 가슴을 만진 적이 있다는 카더라가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이 남존여비 사상이 생각보다 심각해서, 길 한복판에서 여성을 성추행하거나, 강간해도 그것이 성추행이라는 인식 자체가 없다고 합니다.
이렇듯, 북한과 우리는 문화적인 관점에서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북한의 정치는 공산주의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상은 김일성-김정일주의(이는 북한식 표현, 보통 주체사상으로 더 많이 쓰인다.)를 주창한다.
김일성-김정일주의는 선대 지도자인 김일성과 김정일을 우상화하며, 현재 지도자의 집권 정당성을 확보하고, 공포정치를 통하여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여 차기 후계자로의 세습을 목표로 하는 사상입니다. 왕정을 제일 싫어하는 공산주의 국가가 왕정체제와 다를 바 없는 체제를 구축한 셈이죠.
북한은 입법부(국회)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국무회의에 해당하는 '국무위원회'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북한은 사회주의를 경제체제로 채택하고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만, 현재 북한의 배급제가 무너진 관계로, 북한판 전통시장인 '장마당'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원칙상, 이는 북한에서 불법이나, 이를 탄압하기엔 그 규모도 방대하고, 경제도 좋지 않은 상황이라 암묵적으로 동의한 상황입니다.
북한의 경제는 이미 1995년대 신의주 대홍수와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이미 무너진 지 오래고,
그나마 남아있던 경제도 2009년 화폐개혁으로 다 무너지고야 말았습니다.
당시 화폐개혁을 주도했던 박남기의 처형 소식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만고역적 박남기놈은 (중략) 자국 화폐를 람발하여...(후략)"
김정은 집권 이후 경제는 다시 회복되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다시 도로아미타불이 되었습니다.
북한 음식하면, 역시 옥류관의 '평양냉면'이 떠오르기 마련입니다.
순대를 좋아하신다면 '신의주 찹쌀순대'를 떠올리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이것들은 부유층의 음식, 진짜 서민들은 다음과 같은 음식을 먹습니다.
1. 두부밥

두부밥은 일반 서민들의 야식으로, 우리나라의 치킨과 비슷한 위상을 가집니다.
말 그대로 두부 속에 밥을 넣은 것이며, 얼핏봐선 유부초밥과 비슷한데, 실제로 유부도 두부에서 파생된 음식이므로, 어느정도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원산조개밥

원산조개밥은 함경남도의 항구도시 원산의 이름을 따 지은 음식입니다.
조선중앙텔레비죤의 방송에 의하면, 이는 김정은이 직접 개발하여 손수 그 요리법을 일일히 가르쳐준 음식이라고 합니다.
다만, '친근한 어버이'라는 노래를 통해 인민과의 친근함을 내세우려는 김정은 정권 특성상, 실제 요리법 개발에 김정은이 참여했을 줄은 몰라도, 직접 그 요리를 전부 개발할 가능성은 0에 수렴하며, 우상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북한 특성상 저것도 우상화의 일종이라는 것을 아예 부정하긴 힘듭니다.
이 글로 인하여 질문자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글쓴이는 북한을 미화하지 않으며, 북한에 대한 비판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이 글을 씀을 밝힙니다. 따라서 국가보안법에 명시된 '국가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것을 알면서도 반국가단체를 향한 고무 및 찬양 행동"을 하지 않음을 밝히는 바입니다.